바이오헬스 산업, 차기 반도체로 도약…“핵심인재 11만명 양성”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 발표…바이오헬스 기술 초격차 확보를

정부가 바이오헬스를 반도체 산업에 이은 차기 주력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11만 명 핵심 인재 양성 등 인적 기반을 확충한다.


 

보건복지부는 6일 제20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 바이오헬스 기술 초격차 확보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에 저성장 시대 핵심 성장엔진인 바이오헬스 혁신을 선도할 인재 양성은 물론 K-NIBRT, K-BIO 트레이닝 센터 등 실습시설을 구축한다.


또한 대학·민간의 실습 지원은 물론 의료 인공지능과 AI 신약개발 등 첨단·융복합 인재 육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바이오헬스는 전 세계적인 고령화와 건강관리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 미래 유망 신산업이다.


특히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은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규모 대비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인재 양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헬스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인재 11만 명 양성을 추진하는 등 바이오헬스 기술 초격차 확보에 집중할 방침이다.


◆ 산업현장 기반 학교 교육 제공


산업현장에 기반한 학교교육을 제공하고자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를 도입한다.


또한 특성화고·마이스터고와 공공·민간 실습시설 연계 등을 통해 실습 교육을 확대하고, 디지털 치료기기 등 융복합 기술 발전에 대응해 혁신융합대학 등 융복합 교육도 제공한다.


아울러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바이오헬스 중소기업 계약학과는 2022년 5개에서 2023년 8개로 확충한다.


산업단지 내 바이오헬스 학과를 조성하는 산학융합지구(2023년 충북→2024년 충북 + 강원지구) 구축 등 학교 교육의 산업현장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마이스터대 개념도


◆ 현장 수요 맞춤형 생산 및 규제과학 전문인재 양성


바이오헬스 산업현장에 즉시 투입이 가능한 생산·규제과학 인재를 양성한다.


K-NIBRT, K-BIO 트레이닝 센터(가칭) 등 대규모 생산공정 실습시설을 신규로 구축하고,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기존에 구축된 공공시설과 연계해 대학과 민간의 실습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연구개발부터 인허가, 생산까지 안전성·유효성 검증 등 전문 역량을 갖춘 글로벌 수준의 규제과학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의약품·의료기기 산업별 전문 규제과학 교육을 제공한다.


체계적인 전문인재 양성 및 제품화 지원에 관한 규제과학 혁신 근거 법률 마련과 함께 한국규제과학센터 기능 확대 등 기반도 강화한다.


특히 글로벌 규제강화와 디지털 헬스케어 등 산업환경변화를 반영한 산업별 역량강화 교육 및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도 제공해 중소기업 재직자의 역량을 강화를 지원한다.


◆ NEXT 반도체 도약을 위한 핵심 연구인재 육성


바이오헬스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 연구인재를 육성한다.


이에 의료 인공지능 등 첨단·융복합 특화교육을 강화하고, 제약·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 등 석·박사급 연구인재 양성과정을 확대한다.


우수한 보건의료 연구개발 결과를 의료현장으로 연계하는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경력·단계별 양성체계도 강화하고, 대학중점연구소·두뇌한국 21·선도연구센터 등을 통해 창의적·혁신적 바이오헬스 연구도 지원한다.


◆ 든든한 지원체계 구축


지역인재 육성 및 취·창업 연계 및 거버넌스 구성 등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지원기반을 구축한다.


이에 대학과 지역이 협력해 기업·연구소 등 다양한 지역자원을 연계·활용해 바이오헬스 지역인재를 양성한다.


제약바이오 박람회 개최 및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창업지원센터 설치 등을 통해 유능한 인재들의 바이오헬스 취·창업을 연계를 강화한다.


더불어 (가칭)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 구성 및 정책연구 등 중장기 지원기반도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는 세계 시장 규모가 반도체보다도 더 큰 미래 유망 신산업으로, 국민 건강과 국가 안보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오헬스는 끊임없는 기술 혁신이 일어나는 역동적 산업인만큼, 산업현장과 교육계 등과 소통하며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 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