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로 외국인 ‘생활명’도 실명 인증 가능해진다…정수연 대표, 신규 시스템 특허 출원

외국인이 한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글 이름(생활명)으로도 통신, 금융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실명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인공지능 기반의 실명 인증 시스템이 개발됐다.

이 시스템은 신비플러스의 정수연 대표가 독자적으로 개발했으며, 최근 특허 출원을 마쳤다.

외국인 실명 인증, 생활명을 중심으로 진화
현재 외국인의 실명 인증은 여권에 기재된 영문 이름이나 중국어 Pinyin 표기 등을 기준으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글 이름과 다를 경우 인증이 거부되거나 반복적으로 실패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외국인들은 통신 서비스 가입 지연, 계좌 개설 거절, 온라인 플랫폼 가입 제한 등의 생활 속 불편을 겪고 있으며, 기업 역시 고객 이탈과 민원 처리에 따른 행정적 부담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 대표가 개발한 시스템은 생활명과 영문 이름 간의 발음 유사성을 AI가 자동 분석해, 일정 기준 이상의 유사도가 확보되면 동일인으로 인식하여 인증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한글 이름 ‘김하늘’이 여권에 ‘JIN HUAYUN’으로 표기돼 있어도, 두 이름 간의 음성학적 유사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생활명을 사전에 등록할 경우, AI가 해당 데이터를 학습해 보다 높은 정확도로 이름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시스템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의미 기반 유사도 평가와 실시간 처리를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제도적 한계 보완하는 민간 기술
2020년 6월부터 법무부·방송통신위원회·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협업으로, 외국인등록증에 한글 이름이 병기된 경우 실명 인증이 가능하도록 제도가 마련됐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글 이름이 병기된 외국인은 극소수에 불과해 제도적 실효성은 낮은 상태다.

정 대표는 이러한 한계를 기술로 보완하고자, 인증 절차의 범위를 확장하는 AI 기반 정합성 분석 기술을 선보이게 됐다.

사용자들 “생활 속 실질적 변화 기대”
실제 외국인 사용자들 역시 기술 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 출신 직장인 리우 씨(33)는 “회사에서는 모두 한글 이름으로 불리지만, 휴대폰 개통이나 온라인 쇼핑몰 가입 시에는 여권 이름을 입력하라는 안내가 반복된다”며, “이 시스템이 상용화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국적의 유학생 응우옌 씨(24)는 “영문 이름이 길고 발음도 어려워 병원 예약이나 배달 주문에서도 매번 불편을 겪는다”며, “한글 이름으로 인증이 가능해지면 한국 생활이 훨씬 편해질 것 같다”고 전했다.

또 다른 외국인 사용자는 “부모님은 연세가 많아 영문 표기나 띄어쓰기를 어려워하신다”며 “한글 이름으로 실명 인증이 가능해진다면 가족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인증 분야 관계자는 “이러한 기술은 실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현장 중심 혁신의 대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기술 확장 및 협력 계획
정 대표는 이번 실명 인증 기술 외에도, 외국인 사용자의 정보 보호와 인증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보완 기술을 함께 출원했다.

넘버가드(NumberGuard): 재사용된 휴대전화 번호로 인한 정보 혼선 및 개인정보 침해 방지

이름 오탈자·음차 오류 인식 기술: 이름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AI가 자동 보정

정수연 대표는 “기술은 사용자 목소리를 반영할 때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며 “이번 시스템은 휴대전화 대리점을 운영하며 고객이 겪는 실질적인 불편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에도 이러한 현장 기반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시스템은 PoC(기술 실증), 공동 개발, 기술 이전 등의 형태로 다양한 협업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되어 있으며, 특히 외국인 대상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현장 적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